728x90

한국동서발전 자소서 작성 요령_가치관 형성에 전환점이 된 작품

Introduction

 

이번에는 조금 생소한 주제를 가지고 리뷰를 해보려 합니다.

 

자주는 안 나오는 질문인데 가치관 형성에 전환점이 된 인문작품/예술작품은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이냐에 관한 질문인데요.

 

면접 때는 많이 물어보는 질문이기도 한데 자소서에서 물어보는 건 거의 없었습니다.

 

있으면 이상하다는 느낌?

 

따지고 보면 저의 가치관을 물어보는 질문입니다. ㅎㅎ 

 

이상한 거 나와도 어려워하지 마세요.

 

모든 건 생각해보면 거기서 거기입니다.

 

일단 한번 보시죠.

 

합격 자소서(가치관 형성에 전환점이 된 작품과 그 이유)

 

5. 본인의 가치관 형성에 전환점이 된 인문/예술작품(도서, 영화, 미술, 음악 등)은 무엇이며, 그 이유를 설명해 주십시오.

 

'지금 어려운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는다면 이겨낼 수 있다'라는 가치관을 가지게 해준 음악은 Asneral 행진곡입니다. XXX에서 XX으로 활동하면서 가장 처음 지휘를 해본 곡이면서 힘들 때마다 다시 행진하는 마음가짐으로 움직이게 해주었던 곡이기 때문입니다.

 

3학년 1학기에 부XX을 맡아 2학기에 있을 XXX를 준비하던 도중에 XX이 그만두었고 XX을 이어받아 책임을 지고 동아리를 운영하였습니다. 갑작스러웠지만 기회라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책임을 다했습니다.

문제점으로는 단원들의 실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과 단원들이 동아리에 대한 흥미와 목표를 잃어가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2가지 문제 해결을 위해 비 오는 수요일은 파전 구워 먹기, 다 같이 이전 연주회 영상보기 행사를 통해 단원들의 흥미를 돋웠습니다. 그리고 파트장에게 단원들의 연습량과 목표곡 완성도를 제출하도록 하여 이후 XXX를 준비했습니다.

그 결과 XXX에 활기찬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단원들과 함께 XXXXX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XX의 책임을 다할 수 있게 해준 힘들었던 순간도 포기하지 않는 자세는 저의 가치관이 되었습니다.

 

Reviw and discussion

 

누가 이런 질문을 넣어 놨는지....ㅋㅋㅋ

 

근데 생각해보니 의외로 답변하기는 쉬워서 금방 썼던 걸로 기억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책을 많이 이야기할 것 같은데

 

그러면 너무 안 띌 것 같아 행진곡 중 하나를 언급했습니다.

 

사실 대중음악을 제외하면 안 해보면 모르기에 눈에 확띌 것 같은 느낌이 있었거든요.

 

예술작품 같은 경우는 음악보다 상대적으로 덜 친근하구요.

 

그래서 행진곡 중 하나를 택했습니다.

 

역시나 본문은 기존에 활용했던 스토리를 참고해서 작성했네요.

 

그럼 리뷰 한번 해볼까요?

 

첫 번째 문단

 

'지금 어려운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는다면 이겨낼 수 있다'라는 가치관을 가지게 해준 음악은 Asneral 행진곡입니다. XXX에서 XX으로 활동하면서 가장 처음 지휘를 해본 곡이면서 힘들 때마다 다시 행진하는 마음가짐으로 움직이게 해주었던 곡이기 때문입니다.

 

질문에 답변을 바로 했네요.

 

역시 두괄식으로 이야기를 시작해야 합니다.

 

보고서도 그렇고 누구에게 보여주는 글은 다 그렇습니다.

 

저는 일단 첫 번째 문단에서 나의 가치관과 무언가 움직이고 있는 느낌이 드는 행진이라는 단어를 쓰면서

 

글이 움직이는 느낌이 드네요.

 

글이 재미있습니다.

 

두 번째 문단

 

"3학년 1학기에 부XX을 맡아 2학기에 있을 XXX를 준비하던 도중에 XX이 그만두었고 XX을 이어받아 책임을 지고 동아리를 운영하였습니다. 갑작스러웠지만 기회라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책임을 다했습니다.

문제점으로는 단원들의 실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과 단원들이 동아리에 대한 흥미와 목표를 잃어가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2가지 문제 해결을 위해 비 오는 수요일은 파전 구워 먹기, 다 같이 이전 연주회 영상보기 행사를 통해 단원들의 흥미를 돋웠습니다. 그리고 파트장에게 단원들의 연습량과 목표곡 완성도를 제출하도록 하여 이후 XXX를 준비했습니다.

그 결과 XXX에 활기찬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단원들과 함께 XXXXX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XX의 책임을 다할 수 있게 해준 힘들었던 순간도 포기하지 않는 자세는 저의 가치관이 되었습니다."

 

글이 무언가 문제 해결 능력에 써도 될 것 같죠?

 

사실 자소서의 모든 글은 거의 그렇습니다.

 

위기가 없으면 글이 너무 재미가 없습니다.

 

너무나 당연하지 않습니까?

 

자소서만 100번 쓰면 단편소설도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나중에 우리 나이 들면 다 글 쓴다고 난리일 겁니다.

 

삼성출판사와 같은 주식 종목에 신경 쓰세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진농 반농입니다.

 

Conclusion

 

총평 시작하겠습니다.

 

1. 이상한 질문이 나와도 당황하지 말고 정말로 물어보는 게 무엇인지 파악하면 기존에 물어봤던 질문과 크게 다르지 않다.

 

2. 자소서의 본문 내용은 문제 해결 능력 주제에 넣어도 거의 상관이 없는 글이 많다.

 

     위기 -> 해결방안 모색 -> 해결!! 이래야 읽을만합니다. 위기아 없으면 재미가 없어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
728x90

한국동서발전 자소서 작성 요령_문제 해결 방법

Introduction

 

오늘은 한국동서발전 자소서 주제 중 문제 해결 방법 작성 요령을 소개하려 합니다.

 

다들 취업하셨으면 좋겠네요 ㅎㅎ

 

대신 저번에도 말했지만 공기관은 점점 민영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후에 나이 드셔서 꼭 살아남으시기 바랍니다.

 

사설은 이쯤 하고

 

문제 해결 방법은 물어보는 방식은 조금씩 다르지만

 

내가 어떠한 노력을 해서 기존과 개선된 방법을 도출한 적이 있는지 갈등이 있었는데 어떻게 해결했는지

 

뭐 물어보는 건 거의다 비슷합니다.

 

기업이 다르다고 특별히 다른 건 아닙니다.

 

지원하는 기업의 인제상과 비전과 나를 맞춰가면서 글을 쓰는 게 중요하죠.

 

기업은 당신에게 큰 기대를 하지 않습니다.

 

너무 잘나도 취업을 못하는 경우도 많은데

 

일단 들어가면 이야기는 다릅니다.

 

인간이 바뀌는 건지 뭔지는 모르겠는데

 

결국 들어가더라구요.

 

또 잘나서 나오는 게 문제지 ㅋㅋㅋㅋㅋ

 

경력 없으면 앞으로 말짱 도루묵이니 나쁘지 않다면 3년은 다니시기 바랍니다.

 

합격 자소서(문제 해결 능력)

 

2. 본인이 기존과는 다른 방식을 시도하여 이전에 비해 조금이라도 개선했던 경험 중, 가장 효과적이었던 사례를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최근 5년 이내 사례로 기술할 것)

 

[조금은 다른 인수인계서]

 

새로운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틀의 문제를 찾아내어 보완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인턴 기간에 인수인계서 작성 업무를 맞게 되어 이전의 인수인계서의 문제점을 파악한 결과 업무 진행 방법만 있어 처음 업무를 배울 때 적응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인수인계서에 2가지 항목을 추가했습니다.

첫째, 실수한 경험과 실패한 경험을 추가했습니다.

점심시간에 인턴분들에게 어떤 경험이 있었는지 직접 물어보며 사례를 모았습니다. 그 결과 나도 모르게 시료가 오염된 경우, 시약 제조방법이 잘못되어 민감한 실험을 실패한 경험 등의 사례와 대응법을 추가했습니다.

둘째, 업무지원 항목을 추가했습니다.

실험실 간에 업무지원을 위해 매번 새롭게 교육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출장 시 필요한 기구 위치와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방법, 해수 시료를 필터링하는 방법 등을 추가해 교육 시간을 줄이도록 도왔습니다.

 

처음 업무를 배우는 인턴을 위해 추가한 2가지 항목은 업무 적응에 도움을 주었고 업무를 교육하는 입장에서도 편리하게 작용했습니다.

 

Review and Discussion

 

질문의 요지는 어떠한 일에 접근하는 방법을 물어보고 있네요.

 

여러분들은 일을 처리할 때 어떻게 접근하나요.

 

계획을 세우시는 분들도 계시고

 

일단 시작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이건 위기에 대응하는 너의 접근방법이 아니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접근한 방법을 물어보고 있어서 

 

논리적으로 어떻게 접근했는지가 중요하다고 저는 생각했습니다.

 

이제 문단마다 리뷰를 해볼까요?

 

첫 번째 문단

 

"[조금은 다른 인수인계서]

 

새로운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틀의 문제를 찾아내어 보완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슨 면접 때 이야기해도 좋을 정도로 짤막하고 주관있게 글을 시작했네요.

 

면접때 써도 좋은 말인 것 같습니다.

 

특히 보수적인 기관에서요.

 

약간 푸념을 해보자면

 

저도 상당히 보수적인 기관인데 새로운 걸 가져오라고 업무지시를 해놓고

 

제 의견이 어떻게 나왔는지에 대한 조건들의 참고문헌을 가져오라고 말하는 게 아니라

 

제가 내린 결론이 맞는지에 대한 참고문헌을 가져오라는 경우가 있습니다.

 

참... 욕 나오네 ㅋㅋ

 

그래서 그냥 말 안 하게 되더라고요.

 

이게 보수적인 기관입니다.

 

다 입을 안 열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러니

 

새로운 발전을 위해 기존의 틀을 깨는 것보다는 기존의 틀의 문제를 찾아보고 보완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 거죠.

 

기관이 클수록 그렇습니다.

 

책임을 지는 것이 큰 도박이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신입사원의 열정을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면접 때는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새로운 것도 발굴에서 사업화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도 중요하겠죠?

 

두 번째 문단

 

"인턴 기간에 인수인계서 작성 업무를 맞게 되어 이전의 인수인계서의 문제점을 파악한 결과 업무 진행 방법만 있어 처음 업무를 배울 때 적응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인수인계서에 2가지 항목을 추가했습니다.

첫째, 실수한 경험과 실패한 경험을 추가했습니다.

점심시간에 인턴분들에게 어떤 경험이 있었는지 직접 물어보며 사례를 모았습니다. 그 결과 나도 모르게 시료가 오염된 경우, 시약 제조방법이 잘못되어 민감한 실험을 실패한 경험 등의 사례와 대응법을 추가했습니다.

둘째, 업무지원 항목을 추가했습니다.

실험실 간에 업무지원을 위해 매번 새롭게 교육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출장 시 필요한 기구 위치와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방법, 해수 시료를 필터링하는 방법 등을 추가해 교육 시간을 줄이도록 도왔습니다."

 

어떤 문제점이 있고 어떻게 알아봤고 어떤 부분을 개선했는지 말이 되게 써놨습니다.

 

늘 느끼는 건데 글자 수가 적은 자소서는 첫 문단 끝 문단이 다인 것 같습니다.

 

본문은 경험에 대한 서술을 능동적이게 쓰는 작업을 하는 공간이라....

 

하지만 제 글은 능동적이지 않죠.

 

항상 무난 무난합니다.

 

여러분들은 그러지 않기를.....

 

세 번째 문단

 

"처음 업무를 배우는 인턴을 위해 추가한 2가지 항목은 업무적응에 도움을 주었고 업무를 교육하는 입장에서도 편리하게 작용했습니다."

 

본문이 길어서 마지막 문단이 상당히 짧네요.

 

여러분들은 꼭 첫 문단 내용과 본문의 내용을 짤막하게 다시 이야기하고 각오로 마무리하길 바랍니다.

 

Conclusion

 

총평을 시작하겠습니다.

 

1. 기관이 보수적인 기관인지 진보적인 기관인지 고민하고 어떻게 이야기할지 생각해라

 

2. 본문은 좀 능동적으로 작성하는 게 읽는 사람이 안 지루하다.

 

3. 마지막 문단은 윗 내용 요약 그리고 각오로 마무리하는 것이 깔끔하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