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장 토양환경-2(토양의 생성)

 

 토양의 생성

 

  (1) 암석의 풍화작용 :  모양 변화 => 물리적 풍화

                                          성분 변화 => 화학적 풍화

 

  ㅇ 물리적 풍화 :  무리적인 힘에 의해 분열, 마모가 발생하는 현상

                     => 모암의 성질을 유지한 채 표면적 증가

      1. 영향인자 : 온도, 바람, 물의 흐름, 압력변화, 염류의 작용, 빙하의 움직임 등

      2. 풍화에 대한 저항도 :  석영, 백운모, 정장석, 흑운모, 각섬석, 휘석, 감람석, 백운석

 

  ㅇ 화학적 풍화 :

     암석의 조암광물이 분해되는 것(조암광물 : 운모, 석영, 장석, 각섬석, 감람석, 휘석)

                     =>모암의 성질이 바뀌는 것임

      1. 메커니즘 : 빗물, 지하수 등에 포함된 용존물과 암석이 화학적 반응을 하는 것

      2. 화학작용 : 가수분해 , 용해작용, 이온교환, 탄산화작용, 수화작용, 산화환원작용

 

        ※ 석영은 화학적 풍화에 강해서 쪼개져도 성질을 유지해 모래에 주요 부분을 차지함

            (끈질기게 살아남아있는 석영)

        ※ 화학적 분해 작용

            1. K-장석 =가수분해> 규산반

            2. Ca-장석 =가수분해> 고형석(Kaolinite_제올라이트의 종류)

            3. 석회암 =용해작용> 암염(CaCl₂, Ca(HCO₃)₂, Mg(HCO₃)₂)

            4. 철감람석 =산화작용> 철수산화물(Fe(OH)₂)) + 규산

 

  ㅇ 생물학적 풍화작용

      1. 관여 생물 : 동물, 식물, 미생물

      2. 메커니즘 : 기계적 풍화(동물이 깨부숨), 화학적 풍화(식물의 뿌리, 미생물에 의한 풍화)

 

  (2) 토양 생성의 인자 : 기후, 식생(유기물), 모암(모재), 지형, 시간 (겁나 재미없음)

 

  ㅇ 기후

         - 토양의 생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인자 (그냥 관여를 제일 많이 하겠지)

         - 토양의 온도와 습도를 변화시켜서 식물의 성장,

           토양의 성질에 영향을 주니까 토양들이 변하것죠?

  ㅇ 식생(유기물)

         - 식생은 유기물이 되어서 토양의 구성성분이 됨(유기물도 토양이다. 섞이면 ㅋ)

         - 생육과정에서 풍화 및 토양의 분화에 큰 영향을 줌

            1. 유기물이 많은 초지의 토양은 산림지역의 토양과 비교했을 때

                검고, 함수율이 높고, 양이온 교환 능력이 높다.(그렇겠지 유기물에 의한 특징이니까)

            2. 활엽수는 침엽수보다 토양의 비옥도에 큰 영향을 준다.

               (활엽수는 가을에 잎이 떨어짐, 침엽수는 뭘 잘 안 떨굼)

  ㅇ 모암

         - 모암의 종류

            1. 화성암 : 마그마 =굳어라> 화강암 완성

            2. 퇴적암 : 암석 부스러기 + 죽은 생물, 부스러기 =>

                           바다, 호수에 퇴적 => 퇴적암 완성

            3. 변성암 : 화성암, 퇴적암 =지각변동> 고온, 고압, 수증기에 의해 =>

                           성질 변화 => 변성암 완성

         - 지각을 구성하는 비율 : 화성암, 변성암(95 %), 기타(퇴적암)(5 %)

  ㅇ 지형

         - 지형의 형성 : 지형은 화산활동, 단층, 절리, 융기, 침강과 같은 지각의 변형과

                             유수, 바람, 빙하, 산사태 등에 의한 침식과 퇴적과정에 해당

         - 지형의 영향

            1. 기후에 따른 토양 생성속도 조절

            2. 평탄지역 : 물이 잘안빠지니까(배수성이 안좋음) => 토양 생성 분화가 빠름

            3. 급경사지역 : 토양 표층 침식(흙이 굴러떨어진다는 이야기)=>토양 깊이 감소

                ex )폐광산지역에서 정화사업으로 복토를 많이 하는데 기후, 지형의 영향으로

                     복토층이 얇아짐

            4. 지역에 따라 풍화정도와 토양의 성질이 달라진다

            5. 산악지에서는 암쇄토가 많이 분포한다.(허연 암석이 많이 보이져)

            6. 저구릉 및 구릉지역에는 적황색토 분포가 많다

            7. 산록지는 퇴적토, 하천변에는 충적토, 평탄지는 회색토가 많다.

  ㅇ 시간

         - 토양 형성은 시간이 오래걸림

         - 물리, 화학, 생물하적 작용에 의해 오랫동안 시간이 걸려서 토양이 됨

 

  (3) 토양생성 작용

    ㅇ 포르졸화 작용(Podzolization)

        산성 부식질 => 무기성분(Fe, Al 등)이 심하게 분해됨 => 졸(Sol) 상태됨 => 하층으로 이동

         - 회백색을 띔(알루미늄이 꼭 그렇게 만들더라)

         - 한랭하고 습기가 많은 삼림토양에서 발생이 쉬움

    ㅇ 라테라이트화 작용(Laterization)

        염기류, 규산용탈 => Fe, Al 산화물 증가 多

         - 고온 다습한 열대기후 조건에서 발생쉬움

    ㅇ 글레이화 작용(gleization)

        환원성 토양에서 철분이 환원되어 토층을 분화함

    ㅇ 석회화 작용

        규산염 가수분해 => Ca, Mg => CaCO₃, MgCO₃ => 토양 전체에 탄산염 집적

         - 강우가 적은 건조 또는 반건조 지역에서 진행됨(당연히 ㅋㅋㅋ 비는 원래 약산성임)

    ㅇ 염류화작용

        가용성 염유인 탄산염, 황산염, 염화물, 질산염이 표층에 집적

    ㅇ 점토화 작용(Sioallitization)

        2차 점토광물 생성작용

         - 중~약산성으로 교질상의 풍화물이 응고되어 2차ㄱ광물생성 => 점토 집적

    ㅇ 기타 작용

        유기물 암색화, 부식화, 갈색화 등

 

  (4) 토양의 단면구조

 

       O층(유기물층) - A층(표층) - E층(용탈층) - B층(집적층) - C층(모재층) - R층(기반암)

         - O층 : 퇴적된 낙엽 + 분해된 유기물

         - A층 : 무기물을 포함한 최상위층, 영양분이 풍부, 성토층 가장 윗분

         - B층 : 점토가 집접된 층, 암갈색, Fe/Al 부식 등이 집적

         - C층 : 암색을 띔, 모재층 => 토양생성작용을 못받는 층(물이 잘 못가자너...)

         - R층 : 기반암 층, 단단한 모암이 미약하게 풍화(R층까지는 파고 코어 박아서 건물을 지음 정석임)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