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건화엔지니어링 자소서 작성 요령_직무 관련 역량

안녕하세요 Navi입니다.

 

이제 건화엔지니어링의 마지막 주제 "직무 관련 역량"을 어떻게 작성했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Introduction

 

어딜 가나 직무에 관련된 경험이나 성과가 있었는지 항상 물어봅니다.

 

지원하는 직무에 맞게 어떠한 경험들이 있었는지 읽기 좋게 작성하는 게 가장 좋죠.

 

뭐 당연한 소리지만 여러가지 회사들의 다양한 직무에 지원하다 보면

 

불안감에 진짜로 지원하는 곳의 직무에 맞게 작성을 한 것인지 아닌지 혼란스러울 때가 있을 겁니다.

 

경험상 해당 경험이 없었다면 서류통과가 진짜 어렵더라구요.

 

한두 개 서류통과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서류통과를 해서 면접까지 간다고 해도 참.. 무슨 이야기를 해야 할지...

 

나의 의지를 말하는 정도랄까..

 

아하 이건 공대생 기준으로 말씀드리는 겁니다.

 

 

(한 가지 말씀드리자면 공대생은 문과생들이 지원하는 곳에 지원하고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문과생 분들은 진짜 공대 분야에 들어가는 건 보기 힘들죠 지원하지도 않고요.)

 

이제 자소서를 보겠습니다.

 

합격 자소서 (직무 관련 역량)

(597자)

 

[첫 번째 역량 : 자격증 취득]

 

수질에 관한 전문지식을 얻기 위해 수질환경산업기사, 수질환경기사를 차례대로 취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SBR, 5-stage Bardenpho Process, A2/O 와 같은 고도처리공정이 어떠한 기술을 접목했는지 단번에 알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공부하였습니다. 그리고 상하수도계획과 수질오염방지기술의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였습니다.

 

[두 번째 역량 : 하수처리장 모의설계]

 

수질환경화학, 고도처리공학 등 전공수업에서 배운 폐수처리시설에 관한 지식을 응용하기 위해 하·폐수처리시스템모의설계를 한 경험이 있습니다. 천안시에 새로운 하수처리장설계를 목적으로 인구, 축산, 토지이용, 상업·산업 등의 요소를 30년 이후로 예측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후 스크린, 침사지를 시작으로 고도처리방법을 적용해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하는 처리장을 엑셀을 이용해 모의설계 하였습니다.

 

[2가지 역량 활용]

 

고도처리공법을 적용한 모의설계를 끝까지 진행해 보았던 자신감과 자격증 취득을 통해 얻은 기본적인 설계 지식을 활용하겠습니다. 이러한 역량 활용을 통해 주어진 업무에 빠르게 적응하여 건화 2020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힘쓰겠습니다.

Review and Discussion

 

지금 보니까 조금은 재미있네요. 내가 공정 공부를 책으로 얼마나 했다고 저런 자신감이 나오는 걸까요 ㅋㅋㅋㅋㅋㅋㅋ

 

저거 배워서 설계해도 유체 역학과 펌프 출력, 배관 라인 설계 등등 환경공학도가 잘못하는 부분은 많이 남아있습니다.

 

고로 위 글은 완전 직무에 대해서 깊이는 모르는 풋내기 느낌이 물씬 풍긴다는 말이죠.

 

자~~ 그럼 시작합니다.

 

 

첫 번째 문단

 

"[첫 번째 역량 : 자격증 취득]

 

수질에 관한 전문지식을 얻기 위해 수질환경산업기사, 수질환경기사를 차례대로 취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SBR, 5-stage Bardenpho Process, A2/O 와 같은 고도처리공정이 어떠한 기술을 접목했는지 단번에 알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공부하였습니다. 그리고 상하수도계획과 수질오염방지기술의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였습니다."

 

 일단 네가 가지고 있는 직무 역량에 관한 질문에 첫 번째 소개는 자격증 취득이네요.

 

그냥 공무만 했다면 의미가 없었을 겁니다. 자격증을 따는 성과가 있으니 의미 있는 글이 되었습니다.

 

 

 

 쓸데없이 왜 기사를 바로 딸 수 있는데 산업기사를 땄냐면

 

저희 학교에서 3학년을 마치고 4학년 올라가 지전에 휴학을 하면 4학년 1학기로 서류상 들어가지 않더라고요.

 

제가 휴학을 하려던 그해부터 시행했답니다. 저것 때문에 시간 버렸죠. 짜증 나서 일단 산업기사부터 딴 겁니다.

 

실제로는 짜증 나서 산업기사부터 따고 1년 후 다시 복학한 해에 기사를 딴 것을 단계적으로 자격 등을 취득해서

 

깊이 공부하려 노력한 것이라고 이야기를 했네요. 

 

읽는 사람 입장에서는 참 흥미로울 겁니다. (이상하기도 하고 학부 과정을 성실히 임했다고도 볼 수 있으니까요)

 

 

두 번째 문단

 

"[두 번째 역량 : 하수처리장 모의설계]

 

수질환경화학, 고도처리공학 등 전공수업에서 배운 폐수처리시설에 관한 지식을 응용하기 위해 하·폐수처리시스템모의설계를 한 경험이 있습니다. 천안시에 새로운 하수처리장설계를 목적으로 인구, 축산, 토지이용, 상업·산업 등의 요소를 30년 이후로 예측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후 스크린, 침사지를 시작으로 고도처리방법을 적용해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하는 처리장을 엑셀을 이용해 모의설계 하였습니다."

 

 실제로 내가 지원한 직무에 필요한 경험을 어떻게 간접적으로 체험했는지 서술했습니다.

 

위 내용은 수업 때 실시한 조사 단계를 그대로 옮겨와 작성을 했지요.

 

왜냐면 실제로 고려하니까요.

 

다만 "저렇게 모의 설계를 한 결과물이 좋은 성적으로 연결이 되었다"로 마무리되었다면

 

더욱 좋은 문장이 되었을 겁니다.

 

세 번째 문단

 

"[2가지 역량 활용]

 

고도처리공법을 적용한 모의설계를 끝까지 진행해 보았던 자신감과 자격증 취득을 통해 얻은 기본적인 설계 지식을 활용하겠습니다. 이러한 역량 활용을 통해 주어진 업무에 빠르게 적응하여 건화 2020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힘쓰겠습니다."

 

 마지막은 위에 설명한 글을 어떻게 직무에 활용할 것인가와 어떠한 각오가 되어있는지 정리를 했네요.

 

매우 꾸밈없고 간결하게 작성했습니다.

 

그런데 글이 심심하고 재미는 없네요. 그런데 건화라는 기업의 사이트 정도는 들어가 보았다는 느낌은 받았습니다.

 

이렇게 별로인 마무리는 다시는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보기엔 마지막 문단에 건화의 2020 비전 중 어떠한 부분을 더욱 강조해서 작성했다면

 

글이 더 좋아 보았을 것 같습니다.

 

Conclusion

 

총명을 해보겠습니다.

 

1. 내가 가지고 있는 경험과 성과를 어떻게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직무에 맞춰서 쓸 것인지 꼭 확실히 알아본다.

 

2. 직무에 대한 경험이나 성과를 어떤 식으로 만들어 나갔는지 조금은 자세하고 흥미롭게 작성한다.

 

3. 내용을 자세하게 작성하고 명사를 정확하게 쓴다면 더욱 좋은 글이 된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
728x90

건화엔지니어링 자소서 작성 요령_목표를 달성했던 경험

Introduction

 

자소서 작성 요령 주제 시작합니다

 

이제 2016년에 지원했던 건화엔지니어링의 자소서 주제가 2개 남았네요. ㅎㅎ

 

"목표를 달성했던 경험" "직무 관련 역량"이 남아 있는데요.

 

오늘은 목표를 달성했던 경험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옛날 자소서 주제와 현재의 자소서 주제가 다른 것 같이 보이지만 다 똑같습니다.

 

최근에는 자세한 상황을 주고 정확한 질문을 하는 게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죠.

 

일단 자소서 내용을 보셔야 겠죠?

 

합격 자소서 (직무 관련 역량)

(583자)

 

[업무효율과 긍정적 분위기]

 

 프로젝트를 조원들과 함께 완주하기 위해서는 개인 시간을 침해하지 않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서로 간의 협력을 이끄는 데에 큰 효과가 있었습니다.

 

 하·폐수처리시스템설계를 수강하여 조장으로서 생물학적 처리공법을 적용한 하수처리장 설계를 조원들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생물학적 처리공법은 계산이 많고 복잡하여 계산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은 업무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조원들에게 3가지를 약속하며 진행했습니다.

 

첫째, 조원들의 개인 시간을 반영하여 매일 일정표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둘째, 팀 모임을 3시간을 넘기지 않았습니다.

셋째, 조원들이 힘들어할 때마다 조금만 더하면 할 수 있다고 격려하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들었습니다.

 

 일정표와 3시간을 넘기지 않겠다는 약속은 업무효율을 높였습니다. 그리고 긍정적인 분위기는 조원들과의 협력을 통해 팀 프로젝트를 끝까지 완주하도록 도왔습니다. 그 결과 필요한 HRT, SRT, 반응조 미생물 농도 등의 값을 무리하지 않고 구할 수 있었고 수업 목표에 맞는 프로젝트 발표를 할 수 있었습니다.

Review and Discussion

 

첫 번째 문단

 

다시 한번 질문을 봅시다.

 

"목표를 달성했던 경험"이라는 질문을 생각하고 첫 문단을 보자고요.

 

" 프로젝트를 조원들과 함께 완주하기 위해서는 개인 시간을 침해하지 않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서로 간의 협력을 이끄는 데에 큰 효과가 있었습니다."

 

아무리 읽어봐도 목표를 달성했던 경험을 소개하고 있지 않네요.

 

짤막하게 경험을 소개하고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써야 했는데

 

중요한 경험 부분이 빠졌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문단

 

" 하·폐수처리시스템설계를 수강하여 조장으로서 생물학적 처리공법을 적용한 하수처리장 설계를 조원들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생물학적 처리공법은 계산이 많고 복잡하여 계산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은 업무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조원들에게 3가지를 약속하며 진행했습니다."

 

여기에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 서술하고 

 

무슨 문제가 있었는지 / 어떠한 해결방안이 있었는지 / 소설 읽듯이 작성을 했습니다.

 

눈에 딱 보이는 게 읽기 편하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좋습니다.

 

 

세 번째 문단

 

"첫째, 조원들의 개인 시간을 반영하여 매일 일정표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둘째, 팀 모임을 3시간을 넘기지 않았습니다.

셋째, 조원들이 힘들어할 때마다 조금만 더하면 할 수 있다고 격려하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들었습니다."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려 했는지 나눠서 설명했네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방법이죠?

 

요약문을 보는 것 같아 일기가 상당히 편합니다.

 

계획성 있어 보이구요.

 

네 번째 문단

 

" 일정표와 3시간을 넘기지 않겠다는 약속은 업무효율을 높였습니다. 그리고 긍정적인 분위기는 조원들과의 협력을 통해 팀 프로젝트를 끝까지 완주하도록 도왔습니다. 그 결과 필요한 HRT, SRT, 반응조 미생물 농도 등의 값을 무리하지 않고 구할 수 있었고 수업 목표에 맞는 프로젝트 발표를 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 문단은 

 

어떠한 부분이 도움이 되었고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 설명을 했습니다.

 

조금 읽어보면 부족한 마음이 드네요.

 

마무리는 항상 윗 내용을 요약하고 입사해서의 각오나 포부를 짤막하게 작성하는 게 좋은데

 

지금 소개드리는 글은 조금 부족한 느낌이 듭니다.

 

Conclusion

 

총평은 

 

1. 무엇을 질문했는지 다시 한번 보고

   

   첫 번째 문단에 짤막하게 대답을 하고 어떠한 방법으로 해결을 했는지 작성하는 게 좋습니다.

 

2. 본문의 내용은 항상 배경 -> 위기 -> 해결방법 -> 결과 및 성과 방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게 읽기 편합니다.

 

   다른 방법이 있다면 물론 사용하셔도 됩니다.

 

3. 마무리는 다시 한번 내용을 요약하고 입사 각오 및 포부와 같이 각오를 다지는 글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소서 작성 요령

반응형
LIST
728x90

건화엔지니어링 합격자소서,자소서 작성 요령_지원동기

Introduction

 

자소서 작성 요령 주제 시작하겠습니다.

 

이젠 제가 어느 정도 자소서 요령이 잡힌 모습을 보여드릴 건데요.

 

서류 통과했던 것들 중 가장 마음에 들었던 사례입니다.

 

건화엔지니어링에 지원했던 자소서인데요.

 

면접하면서도 참 기대했던 곳인데 선배가 뽑혔네요. 

 

후.... 짜증...... 아... 짜증나..... 아오... 신재생에너지 파트로 지원할걸....

 

이제 첨삭 시작하겠습니다.

 

합격 자소서 (직무 관련 역량)

 

Review and Discussion

 

항상 지원동기가 힘드시죠?

 

누구나 힘든 주제입니다.

 

하지만 기업에 관심이 있고 세상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아신다면 작성하는 데는 큰 무리 없을 겁니다.

 

주식에 한번 뛰어들어보시면 자동적으로 정보가 머릿속에 들어오는 것을 느낄 수 있으실 겁니다.

 

아니면 최소한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CEO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해보시기 바랍니다.

 

(알아요 쉽지 않다는 거 하지만 해본 사람과 안 해본 사람은 다릅니다. 실패를 했다면 그 경험 또한 귀중한 경험입니다.)

 

지원 동기

 

① : 기업을 칭찬하면서 들어갔죠? 사실 건화는 도화엔지니어링에 아직은 밀리는 건축설계 기업입니다.

 

      하지만 건설업계의 불황에서도 지속적으로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고 있는 기업이죠. 

 

      여기서 지원동기는 나에게 자부심을 줄 수 있는 기업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이것도 논리적으로 이상하지 않는 접근방법입니다.

 

입사 후 포부

 

② : 여기선 동기와 포부를 나누어서 작성했습니다. 눈에 딱 나뉘죠? 한번 도전적으로 써본 방법인데 잘 먹혔나 봅니다.

 

③ : 목차를 나눠서 작성해서인지 지금 봐도 눈에 딱딱 들어옵니다. 보고서를 참 잘 쓸 것 같아요.

 

      마무리까지 건화의 정신을 소개하면서 마무리했네요. 깔끔하게 마무리된 것 같습니다.

 

Conclusion

 

총평을 이렇습니다.

 

    항상 어떻게 자소서를 쓸지 어떻게 하면 눈에 더 띌지 생각해보고 도전적으로 작성해 봅시다.

 

    자소서 엄청 쓰실 겁니다. 승률이 좋은 방법을 찾자고요.

 

 

감사합니다.

 

자소서 작성 요령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