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화엔지니어링 합격자소서, 자소서 작성 요령_직무 관련 역량 - 함박눈의 잡지식

건화엔지니어링 자소서 작성 요령_직무 관련 역량

안녕하세요 Navi입니다.

 

이제 건화엔지니어링의 마지막 주제 "직무 관련 역량"을 어떻게 작성했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Introduction

 

어딜 가나 직무에 관련된 경험이나 성과가 있었는지 항상 물어봅니다.

 

지원하는 직무에 맞게 어떠한 경험들이 있었는지 읽기 좋게 작성하는 게 가장 좋죠.

 

뭐 당연한 소리지만 여러가지 회사들의 다양한 직무에 지원하다 보면

 

불안감에 진짜로 지원하는 곳의 직무에 맞게 작성을 한 것인지 아닌지 혼란스러울 때가 있을 겁니다.

 

경험상 해당 경험이 없었다면 서류통과가 진짜 어렵더라구요.

 

한두 개 서류통과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서류통과를 해서 면접까지 간다고 해도 참.. 무슨 이야기를 해야 할지...

 

나의 의지를 말하는 정도랄까..

 

아하 이건 공대생 기준으로 말씀드리는 겁니다.

 

 

(한 가지 말씀드리자면 공대생은 문과생들이 지원하는 곳에 지원하고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문과생 분들은 진짜 공대 분야에 들어가는 건 보기 힘들죠 지원하지도 않고요.)

 

이제 자소서를 보겠습니다.

 

합격 자소서 (직무 관련 역량)

(597자)

 

[첫 번째 역량 : 자격증 취득]

 

수질에 관한 전문지식을 얻기 위해 수질환경산업기사, 수질환경기사를 차례대로 취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SBR, 5-stage Bardenpho Process, A2/O 와 같은 고도처리공정이 어떠한 기술을 접목했는지 단번에 알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공부하였습니다. 그리고 상하수도계획과 수질오염방지기술의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였습니다.

 

[두 번째 역량 : 하수처리장 모의설계]

 

수질환경화학, 고도처리공학 등 전공수업에서 배운 폐수처리시설에 관한 지식을 응용하기 위해 하·폐수처리시스템모의설계를 한 경험이 있습니다. 천안시에 새로운 하수처리장설계를 목적으로 인구, 축산, 토지이용, 상업·산업 등의 요소를 30년 이후로 예측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후 스크린, 침사지를 시작으로 고도처리방법을 적용해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하는 처리장을 엑셀을 이용해 모의설계 하였습니다.

 

[2가지 역량 활용]

 

고도처리공법을 적용한 모의설계를 끝까지 진행해 보았던 자신감과 자격증 취득을 통해 얻은 기본적인 설계 지식을 활용하겠습니다. 이러한 역량 활용을 통해 주어진 업무에 빠르게 적응하여 건화 2020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힘쓰겠습니다.

Review and Discussion

 

지금 보니까 조금은 재미있네요. 내가 공정 공부를 책으로 얼마나 했다고 저런 자신감이 나오는 걸까요 ㅋㅋㅋㅋㅋㅋㅋ

 

저거 배워서 설계해도 유체 역학과 펌프 출력, 배관 라인 설계 등등 환경공학도가 잘못하는 부분은 많이 남아있습니다.

 

고로 위 글은 완전 직무에 대해서 깊이는 모르는 풋내기 느낌이 물씬 풍긴다는 말이죠.

 

자~~ 그럼 시작합니다.

 

 

첫 번째 문단

 

"[첫 번째 역량 : 자격증 취득]

 

수질에 관한 전문지식을 얻기 위해 수질환경산업기사, 수질환경기사를 차례대로 취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SBR, 5-stage Bardenpho Process, A2/O 와 같은 고도처리공정이 어떠한 기술을 접목했는지 단번에 알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공부하였습니다. 그리고 상하수도계획과 수질오염방지기술의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였습니다."

 

 일단 네가 가지고 있는 직무 역량에 관한 질문에 첫 번째 소개는 자격증 취득이네요.

 

그냥 공무만 했다면 의미가 없었을 겁니다. 자격증을 따는 성과가 있으니 의미 있는 글이 되었습니다.

 

 

 

 쓸데없이 왜 기사를 바로 딸 수 있는데 산업기사를 땄냐면

 

저희 학교에서 3학년을 마치고 4학년 올라가 지전에 휴학을 하면 4학년 1학기로 서류상 들어가지 않더라고요.

 

제가 휴학을 하려던 그해부터 시행했답니다. 저것 때문에 시간 버렸죠. 짜증 나서 일단 산업기사부터 딴 겁니다.

 

실제로는 짜증 나서 산업기사부터 따고 1년 후 다시 복학한 해에 기사를 딴 것을 단계적으로 자격 등을 취득해서

 

깊이 공부하려 노력한 것이라고 이야기를 했네요. 

 

읽는 사람 입장에서는 참 흥미로울 겁니다. (이상하기도 하고 학부 과정을 성실히 임했다고도 볼 수 있으니까요)

 

 

두 번째 문단

 

"[두 번째 역량 : 하수처리장 모의설계]

 

수질환경화학, 고도처리공학 등 전공수업에서 배운 폐수처리시설에 관한 지식을 응용하기 위해 하·폐수처리시스템모의설계를 한 경험이 있습니다. 천안시에 새로운 하수처리장설계를 목적으로 인구, 축산, 토지이용, 상업·산업 등의 요소를 30년 이후로 예측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후 스크린, 침사지를 시작으로 고도처리방법을 적용해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하는 처리장을 엑셀을 이용해 모의설계 하였습니다."

 

 실제로 내가 지원한 직무에 필요한 경험을 어떻게 간접적으로 체험했는지 서술했습니다.

 

위 내용은 수업 때 실시한 조사 단계를 그대로 옮겨와 작성을 했지요.

 

왜냐면 실제로 고려하니까요.

 

다만 "저렇게 모의 설계를 한 결과물이 좋은 성적으로 연결이 되었다"로 마무리되었다면

 

더욱 좋은 문장이 되었을 겁니다.

 

세 번째 문단

 

"[2가지 역량 활용]

 

고도처리공법을 적용한 모의설계를 끝까지 진행해 보았던 자신감과 자격증 취득을 통해 얻은 기본적인 설계 지식을 활용하겠습니다. 이러한 역량 활용을 통해 주어진 업무에 빠르게 적응하여 건화 2020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힘쓰겠습니다."

 

 마지막은 위에 설명한 글을 어떻게 직무에 활용할 것인가와 어떠한 각오가 되어있는지 정리를 했네요.

 

매우 꾸밈없고 간결하게 작성했습니다.

 

그런데 글이 심심하고 재미는 없네요. 그런데 건화라는 기업의 사이트 정도는 들어가 보았다는 느낌은 받았습니다.

 

이렇게 별로인 마무리는 다시는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보기엔 마지막 문단에 건화의 2020 비전 중 어떠한 부분을 더욱 강조해서 작성했다면

 

글이 더 좋아 보았을 것 같습니다.

 

Conclusion

 

총명을 해보겠습니다.

 

1. 내가 가지고 있는 경험과 성과를 어떻게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직무에 맞춰서 쓸 것인지 꼭 확실히 알아본다.

 

2. 직무에 대한 경험이나 성과를 어떤 식으로 만들어 나갔는지 조금은 자세하고 흥미롭게 작성한다.

 

3. 내용을 자세하게 작성하고 명사를 정확하게 쓴다면 더욱 좋은 글이 된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